분류 전체보기 111

漢語

序言 하늘아비추천 1조회 60714.05.08 16:57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머리글 이 책은 갑골문, 금문, 주문, 전문까지는 각 글자가 이루는 요소들이 배달말의 소릿값의 조합이라는 것을 논증하는 책입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하(夏)·은(殷)·주(周)의 삼대는 물론이고 시황제의 진(秦)나라까지 우리 배달민족의 역사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정말 어처구니없고 황당한 이 주장에 보통의 사람이라면 실소(失笑)를 범치 못할 것입니다. 역사란 사료에 의한 논증이 객관성을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사료란 기록자의 주관이나 편견, 혹은 정치적인 목적 하에 얼마든지 왜곡이 가능합니다. 통신과 미디어가 발달된 지금에도 이러한 왜곡이 국가 간이든, 한 국가의 내부에서든, 혹은 개인적인 기억이든 끊임없이 일어나고..

漢文 2021.05.12

懶翁大師

나옹대사(懶翁大師) 1320년∼1376년 고려말의 역사의 격동기를 살다간 승려. 나옹에 대한 기록은 碑文, 사리탑명(舍利塔銘), 어록(語錄), 가송(歌頌)등이 있으나 그의 門人 석굉(釋宏)이 남긴 [나옹화상행장(懶翁和尙行狀)]이 가장 자세함. 諱가 혜근(慧勤). 처음 이름은 원혜(元蕙). 속성은 牙氏인데 영해부(寧海府) 사람. 종7품 선관서령(膳官署嶺)이었던 아버지 아서구(牙瑞具)와 영산군인(靈山郡人) 어머니 奠氏 사이에서 1320년(충숙왕 7)에 태어남. 1340년(충혜왕 1) 20세 때 공덕산(功德山) 묘적암(妙寂菴) 요연선사(了然禪師) 밑에서 출가. 1344년(충혜왕 5) 양주 회암사(檜巖寺)에서 4년간 정진한 후 깨달음을 얻음. 1347년 (충목왕 3) 28세 때 元에 가서 인도승(印度僧) 지공(..

歷史 2021.05.07

伯夷

伯夷列傳 艸菴추천 0조회 2520.10.11 14:05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저희 집안에 선조님들 이 보셨던 책인 사기(사기평림)를 소개합니다 卷頭書名(표지제목):史記(사기) (內紙:史記評林사기평림) 편저자(한글) 능치륭(명) 집교 판본사항: 顯宗實錄字(현종실록자) 책권수: 130卷 30冊(完帙) 간행연도: [17世紀 以後] 1700년전후 人記(도장): 이기진(李箕鎭) 군범장 으로 서점에서 한번읽어본 적은 있으나.이렇게 원문을 직접접해보기는 저도 처음입니다. ※ 현종실록자(금속활자) 1677년(숙종 3) ≪현종실록≫을 인출하기 위하여 만든 동활자(銅活字)로 .이 활자는 단아해정(端雅楷正)한 진체자(晉体字)이다. 이 활자의 인본(印本)으로는 현종·숙종·경종·경종개수·영조·정조·순조·헌종 및 철종..

漢文 2021.04.27

陶隱文集序

陶隱文集序(도은문집서)-鄭道傳(정도전) 한문 산문 2010.04.18. 13:58 http://blog.naver.com/osj1952/100103828629 전용뷰어 보기 陶隱文集序(도은문집서)-鄭道傳(정도전) 日月星辰(일월성진) : 일월(日月)ㆍ성신(星辰)은 天之文也(천지문야) : 천문(天文)이요 山川草木(산천초목) : 산천ㆍ초목은 地之文也(지지문야) : 지문(地文)이요 詩書禮樂(시서례악) : 시서(詩書)ㆍ예악(禮樂)은 人之文也(인지문야) : 인문(人文)이다. 然天以氣(연천이기) : 그러나 하늘은 기(氣)로써 되고 地以形(지이형) : 땅은 형(形)으로써 되고 而人則以道(이인칙이도) : 사람은 도(道)로써 된다. 故曰文者(고왈문자) : 그러므로 “문(文)이라는 것은 載道之器(재도지기) : 도를 싣는 그..

漢文 2021.04.15

Pietro Annigoni

피에트로 아니고 니 (1910-1988) | 초상화 화가 게시자 : Tutt'Art Bihiku Pietro Annigoni ( 1910 년 6 월 7 일-1988 년 10 월 28 일 )는 이탈리아의 초상화이자 프레스코 화가였습니다. 그는 1956 년 엘리자베스 2 세 여왕의 초상화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생명 1910 년 밀라노에서 태어난 Annigoni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1920 년대 말부터 그는 주로 피렌체에서 살면서 Piarist Fathers 대학에서 공부했습니다. 1927 년 피렌체의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Felice Carena의 회화, Giuseppe Graziosi의 조각, Celestino Celestini의 에칭 과정을 수강했습니다. Annigoni는..

西洋畵 2021.04.08

포스트 모더니즘

postmodernism탈근대주의 철학사조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폭 넓은 懷疑主義義主觀主義 ·相對主的 특징을 보이며, 이성에 대한 총체적 의심이자 정치·경제적 권력을 유지·주장하는 데 필요한 이데올로기의 역할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주로 근대 서양사의 철학적 가정과 가치 및 지적 세계관에 대한 하나의 반작용으로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혹은 윤리적 상대주의의 어떤 형태를 구성하거나 함축한다. 또 다양한 종류의 담론의 본질 및 기능과 관련하여 사유의 방법을 안내한다. 1980, 90년대에 다양한 문화적·인종적·종교적 집단들의 편에 선 학문적 옹호자들은 현대 서양사회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비판을 포용했고 포스트모더니즘은 '정체성 정치학'이라는 새로운 운동의 비공식적 철학이 되었다. 철학사조로서..

美學 2021.03.28